자이데나, 올 11월 특허 만료…제네릭 촉각

올 하반기 혈관 확장 기전 제제인 유데나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동아에스티의 발기부전 적응증 용도 특허가 오는 11월 만료를 앞두고 있고,

메지온은 유데나필을 희귀수술 환자 치료제로 활용하기 위한 막바지 추가 임상을 준비 중이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동아에스티가 보유한 발기부전 적응증 대상 ‘자이데나’ 특허가 금년 11월 1일부로 만료된다.

자이데나는 유데나필 성분의 혈관 확장 기전 발기부전 치료제로 지난 2005년 11월 허가를 받아 국산 신약 10호로 이름을 올렸다.

전세계 4번째로 개발된 발기부전 치료제로, 국산 의약품 중에서는 최초 사례였다.

 

현재 자이데나에는 별다른 특허가 걸려있지 않아 다른 제약사들은 특허 만료 직후 제네릭 생산이 가능하다.

자이데나는 그동안 비아그라(성분명 실데나필)씨알리스(성분명 타다라필) 제네릭이 난립한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에서 나름 견고한 성적을 유지했다.

동아에스티에 따르면 자이데나는 2005년 허가 이후 2015년까지 10년간 누적 판매 매출 1390억원을 기록했다.

연평균 100억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매출을 올린 것이다.

 

자이데나는 2016년 최대 67% 약가 인하 결정 이후에도 비교적 선전을 거뒀다.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자이데나는 2016년 95억원과 2017년 87억원으로

발기부전 치료제 원외처방액 6위를 차지한 데 이어 2018년에는 78억원으로 5위를 기록해 ‘톱5’에 진입했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자이데나는 2019년과 2020년 각각 60억원, 56억원의 매출을 올리면서 발기부전 치료제 매출 순위 7위와 6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오는 11월 특허 만료 이후 제네릭이 출시되면 향후 자이데나 매출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비아그라와 씨알리스 제네릭 중심으로 편제된 시장에서 자이데나 제네릭을 생산할 제약사가 있을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짱그라